[머니투데이 황시영 기자] [주독미군 감축 공식화…측근 그레넬 전 대사 "트럼프 한국서 군대 데려오길 원해"]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의 원로 보호를 위한 원탁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압박이 거세진 가운데 16일 경찰 개혁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행정명령은 직권 남용 경찰관들을 추적하는 DB 구축 등을 골자로 한다고 한 고위 관계자가 밝혔다. 2020.06.1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독일의 방위비 지출에 불만을 표하면서 주독 미군 감축 입장을 공식화해 그 파장이 주한미군에도 미칠지 주목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독일을 방어하고 있지만 독일은 수년간 채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독일의 군사비 분담에 대한 불만을 내비쳤다.
그는 "주독 미군 병력을 2만5000명으로 줄이겠다"면서 "독일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동맹이 요구하는 만큼 충분한 방위비를 지출하지 않고 있다. 독일이 비용을 더 지불하기 전까지 미국은 병력을 철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위비 불만이 독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고 발언했다. 한미간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주한 미군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우선 'GDP 2% 기준'을 충족못한 나토 국가를 겨냥한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을 포함해 미군이 주둔한 동맹국이 방위비를 제대로 분담하지 않는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평소 생각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리처드 그레넬 전 독일주재 미국대사/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명인 리처드 그리넬 전 주독 미국 대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한국, 일본, 그리고 독일로부터 군대를 데려오기를 원한다'고 분명히 말했다"며 한국을 거론했다.
전직 고위급 외교관이 ‘주한미군 철수’를 직접적으로 시사한 건 처음이다.
주한미군은 미 국방수권법(NDAA)에 따라 현행 2만8500명 이하로 줄이지 못하도록 제한되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 의지에 따라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에는 미 육사 졸업식 연설에서 "머나먼 땅에서 벌어지는 오래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은 미국 병력의 의무가 아니다"며 자신의 초점은 미국의 필수적인 이익을 지키는 데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미국이 더이상 '세계의 경찰'이 아니라는 평소 그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그는 취임 이후부터 '아메리카 퍼스트'(미국우선주의)와 '신고립주의'를 표방하며 세계 각지에 보낸 미군을 돌아오게 하겠다고 강조해왔다.
황시영 기자 apple1@
▶줄리아 투자노트
▶조 변호사의 가정상담소 ▶머니투데이 구독하기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G7 정상회의 아베 발언에...중국 '발끈' (0) | 2020.06.17 |
---|---|
G7 정상회의 아베 발언에...중국 '발끈' (0) | 2020.06.16 |
강남 가라오케 직원 코로나 확진, 한달만에 문열었는데… (0) | 2020.06.16 |
DJ 넥타이 착용한 文대통령 “남북 협력시대 반드시 열어갈 것” (0) | 2020.06.15 |
“연어가 무슨 죄” 도마서 코로나19 검출됐다는 중국 주장에 여론은 싸늘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