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문제인대통령을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각인하고 있다~~~!
물론 ! 군사쿠테타 출신대통령과는~~~국민의 인권이나 정치철학부분에 있어서~~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중시하는 그의 품성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지만~~!
문제인은 인권 변호사 시절과 지금은~~~!
대한민국을 짊어지고 가야하는 막중한 의무와 책임감과~~~주변국가와 잘지내며 우리기업이
해외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외교도 잘해야 한다`~~!
조슈아 웡이 호소하고 있는 중국은 ~~한국과 교역이 가장 활발한 국가이다`~~!
한마디로 홍콩과 중국 사이에 한국 대통령이 나서기엔 부적절하다`~~!
홍콩 문제는~~영국과 중국과 미국이 타협해야 할것이며~~~!
지구촌에 모든 인류가~~~홍콩의 아픔에 동감하며 한 국가의 지도자의 도움보다는~~
국가적 차원이 아니라~~!
범세계적 보편성 인류애에 호소해야 할 것이다`~~!
“中, 英에 약속한 ‘2047년까지 일국양제 유지’ 입장 무시 중”
“美·英·EU, 홍콩 특별지위 박탈해야”…국제사회 中 압박 주장
홍콩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로 꼽히는 조슈아 웡 홍콩 데모시스토당 비서장(사무총장)의 모습. [페이스북 캡쳐]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홍콩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로 꼽히는 조슈아 웡(黃之鋒) 홍콩 데모시스토당 비서장(사무총장)이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민주주의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이 중국 정부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강행에 맞서 홍콩 민주화 세력의 편에 서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웡 비서장은 9일 홍콩시위 1주년을 앞두고 헤럴드경제와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과거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던 문재인 대통령은 누구보다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한국 정부가 홍콩의 편에 서달라고 다시 한번 간절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홍콩보안법은 반중(反中) 홍콩 인사에 대한 처벌 근거를 신설하는 법안이다. 이를 통해 중국 정부의 홍콩에 대한 직접 통제가 강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며 국제사회가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웡 비서장은 중국이 영국과 체결한 ‘홍콩반환협정’에 따라 홍콩에 대해 2047년까지 ‘일국양제(一國兩制, 한 나라 두 체제)’를 보장해야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홍콩보안법의 제정은 홍콩 시민에게 주어졌던 자유에 대한 종말의 시작을 알리는 결정적 순간”이라며 “협상 당사국이었던 영국 정부가 중국의 일국양제 무력화 시도에 대해 더 강력한 입장을 취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앞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3일(현지시간) “중국이 홍콩보안법을 강행할 경우 영국 이민법을 개정해 수백만명의 홍콩인에게 영국 시민권을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홍콩보안법 제정은 홍콩을 중국 본토의 또 다른 도시들 중 하나로 만들려는 시도라며 목소리를 높인 웡 비서장은 “중국이 홍콩을 독재 정권에 동화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된다면 홍콩에 부여된 특별 지위에 대해서도 세계 각국이 재고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도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반발하며 홍콩에 대한 특별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고 한 것과 결을 같이한다.
웡 비서장은 “중국 중앙정부가 대리 제정한 홍콩보안법은 민주화 운동 세력과 시위에 참여한 시민뿐만 아니라 결국 홍콩에서 자유롭게 활동 중인 비즈니스맨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홍콩은 지금 정치적 권리를 침해받는 것을 넘어 경제적 자유 역시 위험에 빠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홍콩 경제는 인권 보호, 중국과 독립된 사법부, 느슨한 기업 규제 등의 방화벽 덕분에 발전할 수 있었다”며 “세계 각국은 현재 홍콩에 진출한 자국 기업들의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반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톈안먼 민주화 시위 31주년을 맞은 지난 4일(현지시간) 홍콩 시민이 톈안먼 시위 희생자를 추모하고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으로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는 중국 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빅토리아 공원에 모여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
웡 비서장은 홍콩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자신을 비롯한 홍콩 민주화 세력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탄압이 본격화 하겠지만, 이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지난해 9월 미 의회 청문회에 참석해 중국의 독재적 탄압과 홍콩 경찰의 만행을 세계에 알렸기 때문에 홍콩보안법의 주요 표적이 될 것”이라며 “외부 세계에 도움을 요청한다는 이유로 당국에 체포·기소 당할 가능성이 높겠지만, 진실과 정의가 침묵해선 안 된다는 생각으로 행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디;콘] 여론조사를 조사하다!
▶채널 구독하면 LED마스크, 공기청정기가 내손에 ▶농수축산물 소비캠페인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입 속에 목캔디 있다"…김부겸 '배수진' 질문에 손사래 친 이낙연 (0) | 2020.06.10 |
---|---|
맺힌 恨 이제야'…민주화운동 부모에 훈장 보답한 文대통령 (0) | 2020.06.10 |
"렘데시비르 50배 효과"…국산 코로나19 치료제 기술이전 (0) | 2020.06.10 |
국내 신용카드 정보 90만건, 해외 암시장서 떠돌아다녔다? (0) | 2020.06.08 |
김종인 "김여정 공격에 풍선 띄우기 금지, 현명치 못 해"? (0) | 2020.06.08 |